청년도약계좌는 정부가 청년들의 목돈 마련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하는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. 2025년의 2월 신청이 시작되었습니다. 적금 금리로 치면 최대 9.54%로 조건에 해당하신다면 꼭 신청하셔서 혜택을 누리시기 추천드립니다. 청년도약계좌 자격조건, 이자, 신청기간, 신청방법, 납입금액등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.
<청년 목돈 마련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. 이자. 납입금액. 신청기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.>
1. 자격 조건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만 34세까지의 청년이 가입할 수 있습니다. 병역기준은 최대 6년까지 계산이 됩니다. 다만 소득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, 구체적인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:
- 개인 총급여 기준:
-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,500만원 이하여야 하며,
- 종합소득세과세표전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금액이 6,300만원 이하여야 합니다.
- 근로자, 사업자, 프리랜서 등 소득 신고가 가능한 청년만 해당됩니다.
- 군 복무 기간(최대 6년)은 나이 계산에서 제외됩니다.
- 가구 소득 기준 :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여야 합니다. 가구원 은 신청하는 청년 본인, 등본상 배우자, 부모, 자녀, 미성년 헝제자매가 기준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구분 |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50% |
1인 가구 | 5,980,033 |
2인가구 | 9,831,645 |
3인 가구 | 12,563,383 |
4인 가구 | 15,244,433 |
5인 가구 | 17,770,480 |
6인 가구 | 20,162,013 |
2. 정부기여금 및 이자 혜택
- 정부기여금:
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매월 정부가 일정 금액을 추가로 적립해 줍니다.- 연 소득 2,400만 원 이하: 최대 월 24,000원 지원 (종합소득 1,600만원 이하)
- 연 소득 4,800만 원 이하: 최대 월 22,200원 지원 (종합소득 3,600만원 이하)
- 연 소득 6,000만 원 이하: 최대 월 21,000원 지원 (종합소득 4,800만원 이하)
- 연 소득이 높을수록 정부 지원금 비율은 줄어듭니다.
- 이자 혜택:
은행 이자와 함께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실질적인 목돈 마련이 가능합니다.
은행별 금리는 다르며, 최대 9.4% 수준으로 혜택을 꼭 받으시기 바랍니다.
3. 신청 기간
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2025년 1월부터 12월까지 연중 상시 신청이 가능합니다.
단, 정부예산 및 신청량에 따라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빠른 신청이 유리합니다.
4. 신청 방법
청년도약계좌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- 온라인 신청:
- 청년희망적금 플랫폼 또는 가입 가능한 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
- 본인 인증 및 소득 확인 서류 제출 필수
- 가입 가능 여부는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
-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서 자격요건 확인 후 신청 가능합니다.
- 오프라인 신청:
- 은행 방문 후 신청 가능
- 신분증 및 소득 확인 서류 지참 필수
참고: 청년도약계좌는 중도 해지 시 불이익이 있을 수 있으니, 가입 전에 조건을 꼭 확인하세요.
5. 청년도약계좌의 장점
- 목돈 마련의 기회: 5년간 꾸준히 적립하면 최대 5,000만 원 이상의 목돈을 마련 가능
- 정부 지원 및 세제 혜택: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이자 혜택으로 실질적인 수익률 상승
- 유연한 적립 방식: 월 납입금액 선택 가능(최소 1000원 ~ 최대 70만 원)
6. 유의사항
- 가입 후 5년 만기까지 유지해야 최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- 가입자의 소득 변화에 따라 정부 지원금은 조정될 수 있습니다.
- 청년도약계좌는 다른 금융상품(예: 청년희망적금)과 중복 가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세요.
이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재정 상황에 맞는 금융 상품을 선택하고, 2025년 청년도약계좌를 통해 목돈 마련의 기회를 잡으세요!